- 국기 태권도
- 태권도 구성
품새
-
태극 7장
태극 7장은 팔괘의 간(艮)에 해당한다.
간은 산등성이가 굽이쳐 흐르는 산맥을 나타내며 산과 산이 연결된 모습을 말한다.
인체에서는 척추를 말하며, 전체적으로는 몸 안의 관절과 척추뼈의 굴신 운동을 가리킨다.
산이랑 단지 흙이 높이 쌓여 있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안의 바위 사이로 지하수가 흐르는 것을 포함하는 것처럼, 산의 흙, 바위, 지하수는 인체에서 근육, 관절, 혈관 및 신경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는 온몸의 관절과 근육이 효율적으로 굴신 운동을 하면서 강한 힘을 발휘하도록 수련해야 한다.
자세히 보기
-
태극 6장
태극 6장은 팔괘의 감(坎)에 해당한다.
감은 끊임없이 흐르는 물을 상징하고 있다. 인체에서는 귀를 의미하며 단지 소리만을 듣는 것이 아니라 나와 주변의 힘의 강약을 느끼는 감각 능력을 포함해야 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는 흐르는 물이 장애물을 타고 넘어가듯이, 상대의 힘을 빗겨 흘리며 반격하는 느낌으로 품새를 수련해야 한다.
물이 흘러가는 길의 폭이 좁거나 넓거나 때로는 장애물이 있더라도 그 흐름에 끊어짐이 없듯이, 품새의 기술은 물이 흐르듯이 연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물이 폭포와 같이 갑자기 아래로 떨어지며 흐를 때도 있는 것처럼 단지 외형적인 기술의 연결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힘의 발산과 수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자세히 보기
-
태극 5장
태극 5장은 팔괘의 손(巽)에 해당한다.
손은 바람을 가리키며 평소에는 고요하지만, 때에 따라 큰 태풍으로 돌변하기도 한다.
인체에서는 골반과 엉덩관절 부위를 가리키며 품새를 수련하면서 안정되고 강력한 자세를 취하기 위해서는 골반과 엉덩관절 주변의 근육이 이완돼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특히, 이 부위는 척추를 받치고 있는 기반이 되는 곳으로서, 모든 자세를 탄력 있게 지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몸의 회전력과 차기의 근원적인 힘이 발산되는 부위이기도 하다.
따라서 회오리 바람이 뭉쳐진 태풍과 같이 예측하지 못하는 방향으로 여러 가지 자세를 통한 기술 수련을 함으로써 몸의 힘을 다양하게 발휘하도록 수련하는 과정을 뜻한다.
자세히 보기
-
태극 4장
태극 4장은 팔괘의 진(震)에 해당한다.
진은 구름 속에서 순식간에 일어나는 천둥과 번개를 나타낸다. 이를 비유해서 동양에서는 진을 하늘의 용(龍)이라고 하였다.
인체에 있어서 진은 쾌속한 움직임과 강력한 차기를 가능하게 하는 두 발의 기동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두 발을 사용해 온몸을 틀어 신속하게 방향을 바꾸거나 공격 한다.
이는 상대와의 거리를 나에게 유리하게 만들면서 변화무쌍한 용처럼 공격해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자세히 보기
-
태극 3장
태극 3장은 팔괘의 이(離)를 의미한다.
이는 태양과 같은 밝고 뜨거운 기운을 상징한다. 그러므로 인체에서는 심장에 해당하며, 용맹한 마음을 양성하는 과정을 뜻한다.
불의 성질을 살펴보면 일단 작은 불씨를 시작으로 급속도로 번지게 돼 모든 것을 순식간에 태워버린다.
이처럼 통제되지 않은 불의 힘과 사방으로 흩어져버리는 빛은 품새 수련에 도움이 될 수 없으며 불과 빛에 해당하는 힘과 기술을 정확하게 몸에 익히고, 품새 동작 시에 과감하게 방어와 공격을 연결하며 수련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자세히 보기
-
태극 2장
태극 2장은 태극의 태(兌)를 상징한다. 태란 본래 수면이 고요한 연못을 상징하는 말이다.
그러므로 이를 인체의 작용에 응용한다면 호흡을 조절하는 것이며 더 나아가서는 감정을 다스리는 과정을 뜻한다.
이러한 이유로 품새를 수련할 때 동작을 따라서 몸의 기운이 밖으로 분산되지 않도록 아랫배를 중심으로 기운을 가라앉혀야 한다.
이는 기술을 습득했다 하더라도 호흡과 감정을 올바르게 통제할 수 없다면 정확한 공격과 방어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태의 의미는 수면은 고요하나 수심이 깊은 연못과 같은 마음가짐으로 품새를 수련하고 전체적으로 외유내강을 이루어야 한다.
자세히 보기
-
태극 1장
태극 1장은 팔괘 중에서 하늘을 상징하는 건(建)에 해당한다. 건이란 태극에 있어 음과 양의 상대 작용에서 양(陽)을 가리키며, 만물의 시작을 알리는 기운을 나타낸다.
또한, 건은 인체에 있어서 머리에 해당하므로 첫 번째 품새 수련을 통해서 태권도의 기본이 되는 동작의 바른 이해와 기술 습득을 의미한다.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