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기 태권도
- 태권도 정신
태권도 정신
태권도 정신은 한국의 전통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는 극기와 홍익의 이념이다. 즉, 태권도의 정신은 ‘나를 이기고’, ‘세상을 이롭게 하라’는 의미를 지닌 두 개의 가치로 이루어져 있다. 극기는 태권도인이 원하는 힘을 얻기 위해 수련하는 과정에서 지침으로 삼아야 할 원리이다. 수련자는 자신의 한계를 반복해서 넘어설 수 있어야, 힘을 기를 수 있고 자아를 성장시켜나갈 수 있다. 한편 홍익은 태권도 수련을 통해 얻은 힘의 사용과 관련해 지침으로 삼아야 할 원리이다. 태권도 수련자의 삶은 수련 과정에서 경험하는 자기 한계를 넘어선 것으로써 자신의 가능성을 확장하고, 궁극적으로 자아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타인과 원만한 관계를 맺고 지역 사회, 국가, 나아가 세상에 이로운 결과를 가져다주는 활동을 실행해 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이 ‘나를 이기고(극기) 세상을 이롭게(홍익)하라!’라는 태권도 정신의 의미이다.
태권도의 5대 덕목
태권도 5대 덕목은 추상적이며 중층적인 의미를 지닌 극기와 홍익을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행동 지침으로 태권도 5대 덕목은 인내, 용기, 예의, 정의, 봉사이다. 이 다섯 가지 덕목은 태권도 정신 극기와 홍익에서 도출한 것이다. 극기 정신에‘인내’와‘용기’덕목을, 극기 정신과 홍익 정신에서 ‘예의’덕목을, 홍익 정신에서 ‘정의’와 ‘봉사’덕목을 도출했다.

-
01
인내
인내는 무엇보다도 태권도 수련 과정에서 겪게 되는
신체 및 심리적 고통을 참고 이겨낼 수 있는 심적 능력을 뜻한다.태권도 수련자가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서 더 강한 존재로 성장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심적 능력이라는 점에서 태권도 정신 극기와 직접 관련 있는 덕목이다.
-
02
용기
용기는 수련 과정에서 만나게 되는 감당하기 어려운 상대나
과제를 두려워하지 않는 마음을 의미한다.용기는 또한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부당한 강요나 유혹에 굴복하지 않는 마음을 의미한다.
두 경우 모두에서 용기는 나약하거나 욕심에 사로잡힌 자기를 극복하게 해주는 성향이라는 점에서 태권도 정신 극기와 직접 관련 있는 덕목이라고 할 수 있다. -
03
예의
예의는 상대와의 관계에서 나를 낮춘다는 겸손의 의미와
상대방을 높여준다는 존중의 의미를 동시에 지닌다.겸손으로서 예의는 과시적이고 오만한 자기를 낮춘다는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극기의 행위로 볼 수 있고, 예의는 타자 존중이라는 배려 행위를 통해 타자에게 유익함을
가져다준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홍익의 행위로 이해할 수 있다. -
04
정의
정의는 내가 아니라 우리를, 우리가 아니라 모두를 위하는 마음이다.
널리 세상을 이롭게 하는 홍익의 마음과 직접 관련이 있는 개념이다.
홍익인간의 이념이 말해주고 있듯이 한민족으로 예부터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는 것을 최상의 원리로 여겨왔던 민족이다. 태권도의 실천 덕목으로서 정의는 이러한 가치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개념이다. -
05
봉사
봉사는 자신의 것을 나누면서 누군가를 받들고 섬기는 활동이다.
태권도 홍익 정신에서 도출한 태권도 실천 덕목으로 세상을 이롭게 함을 의미하는 홍익의 정신은 무엇보다도 봉사 활동을 통해서 실현될 수 있다는 점에서 봉사는 홍익과 직접 관련이 있는 덕목이라고 할 수 있다.
출처 : 국기원 태권도 교본(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