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한국어
  • 한국어
  • 영어
  • 중국어
  • 일본어
  • 독일어
  • 러시아어
  • 베트남어
  • 프랑스어
  • 힌디어
  • 스페인어
한국어
  • 한국어
  • 영어
  • 중국어
  • 일본어
  • 독일어
  • 러시아어
  • 베트남어
  • 프랑스어
  • 힌디어
  • 스페인어

알림·소식

보도자료

  1. 홈
  2. 알림·소식
  3. 보도자료

국기원, 장애인 태권도 심사 제도 마련 본격화

  • 작성자

    admin

  • 작성일

    2023-08-09

  • 조회

    518

  • 첨부

국기원, 장애인 태권도 심사 제도 마련 본격화

장애인 심사제도 제정 전담조직구성 12월까지 제도 마련 목표

 

세계태권도본부 국기원(원장 이동섭)이 장애인들을 위한 태권도 심사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국기원은 장애인 심사제도 제정을 위한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현장 장애인 태권도 지도자 등의 의견을 수렴, 장애인 태권도 심사제도의 틀과 내용을 마련할 계획이다.

 

장애인의 심사제도 마련이 본격화 된 것은 장애인의 태권도 수련이 늘고 있을 뿐 아니라, 장애인태권도 심사 규정 등 장애인을 위한 보다 체계적인 내용과 틀이 필요했다.

 

그동안 국기원은 장애인 전문 역량을 갖춘 장애인 태권도지도자 양성을 위해 장애인 자격연수 이론 교재를 새롭게 개발하고, 기존 장애인 경기용 품새를 현장 도장에 보급하기 위해 수정보완하는 등 장애인 태권도 활성화를 위해 적극 노력해 왔다

 

장애인태권도사범 교육은 2008년부터 시행 중이며, 2017년 지체시각지적 장애인 경기용 유급자 및 유단자 품새를 개발했다. 2022년에는 2017년에 개발한 장애인 경기용 품새를 현장 도장에 보급하기 위해 지체 및 지적장애인 품새를 수정보완하기도 했다.

 

이동섭 국기원장은 우리의 우수한 문화유산인 태권도를 장애인들도 함께 누리고 동등한 심사의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장애인 심사제도 제정 전담조직 위원들이 장애인의 입장에서 심사제도를 마련해 줄 것을 당부했다.

 

심사제도 제정 전담조직은 올 말까지 태권도 심사제도에 대한 다양한 내용과 규정 등을 만들 계획이다.

 

한편 727일 위촉된 장애인 심사제도 제정 전담조직위원장은 국기원 서진교 연수원 교육행정국장이 맡았고 부위원장은 강명희 포올행동발달교육진흥원 대표이사, 위원은 설성란교수, 이기철교수(이상 WTA품새 교수), 임영진 대한장애인체육회 전종목지도자위원회 위원장, 이영림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관리위원회 사무국장, 최희진 국기원 심사팀장으로 구성됐다.